"성장은 암덩어리다!" 37signals 창립자가 100억원 매출로도 직원 57명인 충격적 이유

"성장은 암덩어리다!" 37signals 창립자가 100억원 매출로도 직원 57명인 충격적 이유


“성장은 암덩어리입니다. 빨리 자라는 것들은 대부분 죽어요.”

2024년 TechCrunch 인터뷰에서 Jason Fried가 던진 이 폭탄 발언은 실리콘밸리 전체를 충격에 빠뜨렸습니다.

왜냐하면 그는 37signals/Basecamp의 창립자로서, 25년간 단 한 번도 외부 투자를 받지 않고 연 매출 100억원을 달성한 전설적인 인물이기 때문입니다.

더 놀라운 건, 이 모든 성과를 직원 57명으로 해냈다는 사실입니다.

calm company philosophy

“우리는 급성장하는 스타트업이 아닙니다. 우리는 조용히, 꾸준히, 건강하게 성장하는 회사예요.”

도대체 어떻게 이런 일이 가능할까요?

🎯 반성장의 철학: “Calm Company”

Jason Fried의 성공 비결은 바로 “Calm Company” 철학에 있었습니다.

“모든 스타트업이 미친 듯이 성장하려고 하는데, 저는 반대로 갔어요. 천천히, 신중하게, 지속 가능하게 말이죠.”

💡 Calm Company의 5가지 원칙

1. 외부 투자 거부

  • 25년간 VC 투자 0원
  • “투자받으면 남의 꿈을 살게 됩니다”
  • 100% 자체 수익으로 운영

2. 인위적 성장 거부

  • 직원 수 의도적 제한 (57명 유지)
  • “더 많은 직원 = 더 많은 문제”
  • 효율성 극대화에 집중

3. 무한 성장 신화 거부

  • “매년 2배 성장? 말도 안 돼요”
  • 지속 가능한 10-15% 연간 성장률 유지
  • 장기적 안정성 우선

4. Work-Life Balance 극대화

  • 주 4일 근무 (여름철)
  • 무제한 휴가 정책
  • “번아웃은 비즈니스의 적”

5. 고객 중심 제품 개발

  • 기능 추가보다는 기존 기능 개선
  • “복잡함은 적의 적”
  • 단순함이 곧 경쟁력

work life balance success

🚀 37signals 창업 스토리: 웹디자인 에이전시에서 시작

1999년, 시카고의 작은 웹디자인 스튜디오에서 모든 것이 시작되었습니다.

“저는 원래 웹 디자이너였어요. 프로젝트 관리에 항상 골치가 아팠죠.”

당시 Jason은 Carlos Segura와 함께 37signals라는 웹디자인 에이전시를 운영하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프로젝트가 늘어날수록 관리가 점점 복잡해졌습니다.

초기 문제점들:

  • 이메일로 주고받는 혼란스러운 소통
  • 파일 버전 관리의 악몽
  • 클라이언트 피드백 추적의 어려움
  • 데드라인 관리의 복잡함

“기존 프로젝트 관리 도구들은 너무 복잡했어요. NASA에서 쓸 법한 기능들이 가득하더라고요. 우리가 필요한 건 정말 간단한 것이었는데 말이에요.”

💻 Basecamp 탄생: 내부 도구에서 제품으로

2004년, Jason과 그의 동료 David Heinemeier Hansson (Rails 프레임워크 창시자)는 내부 프로젝트 관리를 위해 간단한 웹 도구를 만들었습니다.

첫 번째 Basecamp의 기능들:

  • 프로젝트별 대시보드
  • 간단한 할 일 목록
  • 파일 공유
  • 메시지 보드
  • 마일스톤 추적

“처음에는 우리만 쓸 생각이었어요. 그런데 클라이언트들이 너무 좋아하더라고요. ‘이거 우리도 쓸 수 있냐’고 계속 묻더군요.”

product development success

그때 Jason은 중요한 결정을 내렸습니다.

“웹디자인 에이전시를 접고, Basecamp에 집중하자!”

📈 성장 과정: 조용하지만 강력한 성공

🎯 2004-2010: 기반 다지기

2004년 2월: Basecamp 공식 출시

  • 가격: 월 $24 (기본 플랜)
  • 첫 달 고객: 45명
  • 매출: $1,080

“첫 달에 천 달러를 벌었을 때의 기분을 잊을 수 없어요. ‘우와, 이게 정말 되는구나!’ 싶었죠.”

2005년: 폭발적 성장 시작

  • 고객 수: 3,000명
  • 월 매출: $72,000
  • 연 매출: $864,000

2006년: 첫 번째 도전

  • 경쟁사들이 쏟아져 나옴
  • Microsoft Project 등 대기업 제품과 경쟁
  • Jason의 대응: “우리는 단순함으로 승부한다”

2008년: 금융위기 속에서도 성장

  • 연 매출: $500만 달러 돌파
  • 직원 수: 16명 (의도적으로 작게 유지)
  • 고객 만족도: 98%

🏆 2010-2020: 성숙기

2012년: 중요한 결정점

  • 여러 VC들이 투자 제안
  • Sequoia Capital: “1억 달러에 지분 30% 드릴게요”
  • Jason의 답: “정중히 거절합니다”

“투자를 받으면 우리 철학을 포기해야 해요. 빠른 성장, 많은 직원, 복잡한 기능… 우리가 원하는 회사가 아니거든요.”

2015년: Basecamp 3 출시

  • 완전히 새로운 버전
  • 기존 고객들의 거센 반발
  • 대응: 기존 버전 계속 서비스 제공

“고객들이 화를 냈어요. 하지만 우리는 옳은 일을 했다고 생각해요. 더 나은 제품을 만드는 것, 그게 우리 사명이니까요.”

2018년: HEY 메일 개발 시작

  • 이메일의 혁신을 꿈꾸며
  • 3년간 비밀 프로젝트로 진행
  • 투자 유혹: “10억 달러 밸류에이션으로 투자하겠다”
  • Jason의 답: “또 거절합니다”

💰 놀라운 수익 구조 분석

2024년 현재 37signals 수익 현황:

📊 매출 구성 (연 약 100억원)

Basecamp (80%)

  • 월 구독료: $99-$399/월
  • 고객 수: 약 3,000개 기업
  • 연 매출: 약 80억원
  • 특징: 20년간 쌓인 충성 고객층

HEY 메일 (20%)

  • 월 구독료: $99/사용자
  • 고객 수: 약 300개 기업
  • 연 매출: 약 20억원
  • 특징: 프리미엄 이메일 서비스

💎 수익성 분석

운영비 구조:

  • 직원 급여: 연 50억원 (57명, 평균 연봉 8,800만원)
  • 서버/인프라: 연 5억원
  • 마케팅: 연 3억원 (주로 콘텐츠 마케팅)
  • 기타 운영비: 연 7억원

순이익: 약 35억원 (35% 순이익률)

“대부분의 테크 회사들이 적자를 내며 성장하는 동안, 우리는 매년 35%의 순이익을 내고 있어요. 이게 지속 가능한 비즈니스죠.”

financial success sustainable

🧠 Jason의 독특한 경영 철학

⚡ “Remote First” 문화의 선구자

37signals는 2013년부터 완전 원격 근무를 도입했습니다. 코로나보다 7년 먼저 말이죠.

“사무실은 방해만 됩니다. 정말 집중해서 일하려면 조용한 곳이 필요해요.”

원격 근무 성공 비결:

  • 비동기 소통: 실시간 채팅 금지, 문서로 소통
  • 시간대 존중: 각자 최적의 시간에 업무
  • 결과 중심: 근무 시간이 아닌 성과로 평가
  • 도구 활용: 자체 제품인 Basecamp로 모든 업무 관리

“우리 직원들은 시카고, 스페인, 네덜란드, 캐나다… 전 세계에 흩어져 있어요. 하지만 가장 효율적으로 일하고 있죠.”

🎯 “Getting Real” 개발 철학

Jason이 쓴 책 **“Getting Real”**은 전 세계 개발자들의 바이블이 되었습니다.

핵심 원칙들:

1. Less is More (덜할수록 좋다)

기능 100개 vs 기능 10개
→ 10개가 이긴다
왜? 사용자는 복잡함을 싫어하기 때문

2. Build Half a Product, Not a Half-Ass Product “반쪽짜리 제품을 만들지 말고, 제품의 반만 만들어라”

  • 핵심 기능에만 집중
  • 부가 기능은 과감히 제거

3. Say No by Default

  • 새로운 기능 요청의 99%는 거절
  • “나중에 추가할 수 있지만, 제거하기는 어렵다”

4. Hire the Right People, Not More People

  • 10명의 보통 개발자 < 3명의 뛰어난 개발자
  • “팀 크기가 커질수록 생산성은 떨어진다”

📚 콘텐츠 마케팅의 달인

37signals의 마케팅 비용이 연 3억원밖에 안 되는 이유는 콘텐츠 마케팅 때문입니다.

Jason의 콘텐츠 전략:

1. 책 출간

  • “Getting Real” (무료 배포)
  • “Rework” (뉴욕타임스 베스트셀러)
  • “It Doesn’t Have to Be Crazy at Work”

2. 블로그 “Signal vs. Noise”

  • 20년간 꾸준히 운영
  • 월 100만 뷰 달성
  • 실무 중심의 솔직한 콘텐츠

3. 팟캐스트 “Rework”

  • 경영 철학과 실무 경험 공유
  • 다운로드 수 500만 회 돌파

“광고비를 쓰는 대신 유용한 콘텐츠를 만들어요. 그럼 사람들이 알아서 찾아와요. 이게 진짜 마케팅이죠.”

content marketing strategy

🔥 HEY 메일: 두 번째 대박 제품

2021년, Jason은 20년간 준비한 새로운 제품을 출시했습니다. 바로 HEY 메일입니다.

“이메일이 발명된 지 50년이 됐는데, 왜 아직도 1990년대 방식으로 쓰고 있을까요?”

💌 HEY 메일의 혁신적 기능들

1. Imbox vs Inbox

  • 중요한 메일만 받는 “Imbox”
  • 스팸과 광고는 자동 차단
  • “받고 싶은 메일만 받는 시대”

2. The Screener

  • 첫 발신자는 허가를 요청해야 함
  • 스팸 메일 99% 차단
  • “이메일도 초대제로”

3. Set Aside

  • 나중에 볼 메일을 따로 보관
  • “읽지 않음” 스트레스 해소
  • “메일함 = 할일 목록이 아니다”

4. Reply Later

  • 답장을 나중에 보내기로 예약
  • 업무 시간 외 답장 방지
  • “경계선이 있는 소통”

📈 HEY 메일 출시 성과

출시 첫 주 (2021년 6월):

  • 가입자: 10,000명
  • 대기자 명단: 100,000명
  • 매체 노출: TechCrunch, Wired, NYT 동시 커버

현재 (2024년):

  • 기업 고객: 300개 회사
  • 개인 고객: 15,000명
  • 연 매출: 20억원
  • 고객 만족도: 96%

“HEY는 단순한 이메일 서비스가 아니에요. 이메일에 대한 철학의 변화입니다.”

🌟 37signals의 독특한 회사 문화

🏖️ 워라밸의 새로운 정의

여름 4일 근무제

  • 5월~9월: 주 4일 근무 (월-목)
  • “금요일은 쉬세요. 인생은 일만 하는 게 아니니까”

무제한 휴가

  • 최소 3주 휴가 의무
  • 휴가 중 업무 연락 금지
  • “번아웃은 창의성의 적”

6주 사이클 개발

  • 6주 개발, 2주 휴식 반복
  • 긴 프로젝트는 6주 단위로 분할
  • “마라톤이 아닌 스프린트로”

💰 직원 복지의 혁신

이익 공유제

  • 연 순이익의 25%를 직원들과 공유
  • 2024년 기준 직원 1인당 평균 1,500만원 보너스
  • “회사가 잘되면 모두가 잘되는 구조”

성장 지원금

  • 연간 300만원의 개인 개발비 지원
  • 책, 강의, 컨퍼런스 등 자유 사용
  • “배움에 투자하는 회사”

장비 지원

  • 최신 맥북 프로 + 4K 모니터 2대
  • 인체공학 책상과 의자
  • “최고의 도구로 최고의 결과를”

team culture happiness

🎯 Jason이 직접 전하는 성공 비결

💡 인터뷰에서 공개한 핵심 인사이트들

“성공의 정의를 바꾸세요”

“우리 사회는 성공을 ‘더 크게, 더 빠르게, 더 많이’로 정의해요. 하지만 진짜 성공은 **‘더 오래, 더 행복하게, 더 의미 있게’**라고 생각해요.”

“고객은 복잡함을 원하지 않아요”

“모든 회사가 더 많은 기능을 추가하려고 해요. 하지만 고객이 정말 원하는 건 **‘내 문제를 간단하게 해결해주는 것’**이에요.”

“경쟁자를 의식하지 마세요”

“경쟁사가 새 기능을 출시하면 우리도 따라하라고 하는 사람들이 있어요. 하지만 우리는 고객의 목소리만 들어요. 경쟁사는 신경 쓰지 않죠.”

“돈보다 중요한 건 자유예요”

“VC 투자를 받으면 더 많은 돈을 벌 수 있을 거예요. 하지만 우리 방식으로 일할 자유를 잃게 되죠. 저는 자유를 선택했어요.”

🚀 한국 개발자들을 위한 특별 조언

“한국은 정말 특별한 시장이에요”

“한국 개발자들은 기술력이 뛰어나지만, 항상 ‘빨리빨리’ 문화에 시달리죠. 하지만 천천히, 제대로 만드는 게 더 좋은 결과를 가져와요.”

실전 적용 가이드:

1. 작게 시작하세요

  • 거대한 플랫폼 꿈꾸지 말고
  • 하나의 문제를 확실히 해결하는 도구부터
  • “Basecamp도 처음엔 단순한 프로젝트 관리 도구였어요”

2. 고객과 대화하세요

  • 기능 추가 전에 고객에게 물어보기
  • “정말 이 기능이 필요한가요?”
  • 대답이 “Yes”인 경우만 개발

3. 단순함을 유지하세요

  • 복잡한 기능은 과감히 제거
  • “이 버튼이 정말 필요할까?” 끊임없이 자문
  • 할머니도 쓸 수 있을 정도로 간단하게

4. 수익을 우선시하세요

  • 투자보다는 실제 매출에 집중
  • 첫 달부터 수익 창출 목표
  • “무료로 주지 말고, 가치에 대한 정당한 대가를 받으세요”

💼 37signals식 바이브 코딩 전략

Jason Fried의 성공 스토리에서 가장 인상적인 것은 “적게 하되 제대로” 철학입니다.

🎯 Calm Company를 위한 바이브 코딩 실전 가이드

1. MVP 극대화 전략

// 복잡한 기능들 대신
const simpleFeatures = [
  'core_problem_solving',  // 핵심 문제 해결
  'easy_to_use',          // 사용 편의성
  'reliable_performance'   // 안정적 성능
]
// 이 3가지에만 집중하세요

2. 고객 피드백 우선 개발

  • 새 기능 아이디어가 생기면 → 고객에게 먼저 물어보기
  • 요청이 10번 이상 오면 → 개발 고려
  • 요청이 100번 이상 오면 → 즉시 개발

3. 반성장 마인드셋

  • “올해 매출 2배!” ❌
  • “올해 고객 만족도 95% 유지” ✅
  • “직원 100명 채용!” ❌
  • “현재 팀의 생산성 20% 향상” ✅

sustainable business growth

🔮 37signals의 미래와 교훈

2024년 현재, Jason Fried의 계획:

“앞으로 25년 더 이런 식으로 할 거예요. 급하지 않아요. 지속 가능한 게 가장 중요하니까요.”

다음 프로젝트들:

  • HEY 메일의 AI 통합 (하지만 단순함 유지)
  • Basecamp 4 준비 (하지만 서두르지 않음)
  • 새로운 책 집필 예정 (“Calm Company Handbook”)

🎪 10xbuilders와 함께하는 Calm Coding

Jason Fried의 스토리가 우리에게 주는 가장 큰 교훈은 **“성공에는 여러 가지 모양이 있다”**는 것입니다.

빠른 성장과 대규모 투자만이 성공의 기준이 아닙니다. 때로는 천천히, 꾸준히, 지속 가능하게 성장하는 것이 더 큰 행복과 자유를 가져다줄 수 있어요.

10xbuilders 커뮤니티에서는 Jason처럼 생각하는 개발자들이 모여있습니다. 급하게 성장하려고 하지 않고, 자신만의 속도로, 자신만의 방식으로 가치를 만들어가는 사람들이죠.

“혼자서 무작정 달리다 보면 지쳐요. 하지만 같은 철학을 가진 사람들과 함께라면 마라톤도 즐거워져요.” - 10xbuilders 회원 후기

당신도 Jason Fried처럼 Calm Company를 만들 준비가 되셨나요?

바이브 코딩으로 조급함을 버리고, 진짜 가치 있는 제품을 만들어보세요. 25년 후에도 행복하게 일할 수 있는 그런 회사 말이에요.


Jason Fried의 Calm Company 철학이 궁금하다면? 10xbuilders에서 함께 지속 가능한 성공을 만들어보세요. 급하지 않게, 하지만 확실하게.

에피 프로필 사진

에피 (10xbuilders 커뮤니티 리더)

AI 시대 바이브 코딩 전도사


1인 개발 성공 사례를 읽고 가슴 뛰셨나요?
수익형 바이브 코딩에 미친 사람들만 모이는 저희 커뮤니티에 가입하세요!

10x 빌더가 되어보세요 멤버십 가입하기
가입하기